맨위로가기

휠체어 컬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휠체어 컬링은 일반 컬링과 유사하게 20kg의 스톤을 하우스로 밀어 넣어 과녁에 가까운 팀이 승리하는 스포츠이다. 스톤은 휠체어에서 던져지며, 스위핑은 없다. 딜리버리 스틱을 사용하거나 손으로 스톤을 던질 수 있으며, 혼성 4인조 팀으로 8 엔드로 경기를 진행한다. 휠체어 컬링은 1990년대 후반 유럽에서 시작되어 2006년 토리노 동계 패럴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와 같은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휠체어 농구
    휠체어 농구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이 참가하는 장애인 스포츠로, 제2차 세계 대전 후 상이군인들에 의해 시작되어 국제 휠체어 농구 연맹의 관리하에 일반 농구와 유사하지만 휠체어 사용에 맞춘 규칙과 클래스 분류를 적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매체에서도 활용된다.
  • 패럴림픽 경기 종목 - 골볼
    골볼은 제2차 세계대전 시각 장애 참전 용사 재활을 위해 개발된 시각 장애인 스포츠로, 방울이 든 공을 이용해 상대 골대에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제시각장애인스포츠연맹 주관 하에 패럴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컬링 - 제2회 신세계-이마트 전국컬링대회 중등부
    2024년에 열린 제2회 신세계-이마트 전국컬링대회 중등부는 남자부에서 전주효정중학교, 여자부에서 민락중학교가 우승을 차지한 중등부 컬링 대회이다.
  • 컬링 - 아이스스톡
    아이스스톡은 스톡을 던져 목표 지점에 가깝게 또는 멀리 위치시키는 스포츠이며, 팀 경기, 개인 타겟 슈팅, 거리 슈팅 등의 종목으로 나뉘어 국제 아이스스톡 스포츠 연맹(IFI)이 국제 경기를 주관하고, 2021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정식 승인을 받았다.
휠체어 컬링
개요
2006년 [[토리노 패럴림픽]]의 휠체어 컬링 경기
2006년 토리노 패럴림픽의 휠체어 컬링 경기
종류실내 스포츠
성별혼성
선수4명
신체 접촉없음
관련 단체세계 컬링 연맹
파럴림픽2006년 -
세계 선수권 대회2002년 -
세부 사항
특징휠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하는 컬링

2. 규칙

동계 패럴림픽 휠체어 컬링 픽토그램


휠체어 컬링 경기는 약 34.75m 떨어진 표적판(하우스)을 향해 무게 20kg의 스톤을 밀어 보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엔드 종료 후, 양 팀의 스톤 중 하우스 중심에 더 가까이 위치한 스톤에 따라 점수가 결정된다. 각 팀의 선수 네 명은 리드(lead), 세컨드(second), 서드(third), 스킵(skip)의 정해진 순서에 따라 스톤을 투구한다. 이 중 스킵은 팀의 주장을 맡아 경기 전략을 수립하고 지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적인 경기 방식은 동계 올림픽 종목인 컬링과 유사하다.[11]

국가 및 국제 대회는 세계 컬링 연맹(WCF)에서 제정한 규칙에 따라 운영된다. 이 규칙에 따르면, 팀은 반드시 남녀 혼성으로 구성되어야 하며[1], 경기는 총 8엔드로 진행된다. 각 팀에게는 경기 운영을 위해 총 38분의 사고 시간(thinking time)이 주어지며, 경기 중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60초의 타임아웃 기회가 한 번 제공된다.[1] 휠체어 사용과 관련된 구체적인 규칙 차이는 아래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2. 1. 일반 컬링과의 차이점

휠체어 컬링은 일반 컬링과 동일한 스톤과 얼음 위에서 진행되지만[11],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진다.[5][6]

  • 투구 방식: 선수들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투구한다.[5][6] 손으로 직접 스톤을 밀거나, '딜리버리 스틱'이라는 보조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11][5][6] 딜리버리 스틱은 스톤 손잡이에 맞게 설계되어, 선수들이 스톤에 정확한 회전을 주며 밀어낼 수 있도록 돕는다. 투구 시에는 다른 팀원이 투구자의 휠체어를 뒤에서 잡아주어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정확한 방향으로 스톤을 보낼 수 있게 돕는다.[11] 투구된 스톤은 하우스와 가까운 호그라인 사이에서 센터라인 양쪽 약 45.72cm 이내에 놓여야 하며, 가까운 호그라인에 도달하기 전에 손이나 스틱에서 완전히 분리되어야 한다.

  • 스위핑 부재: 일반 컬링의 특징 중 하나인 스위핑(sweeping), 즉 브러시로 얼음 표면을 닦아 스톤의 진로와 속도를 조절하는 행위가 없다.[11][5][6] 이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선수들의 이동 제약을 고려한 규칙이다.[11] 따라서 스위퍼 역할을 하는 선수도 없다.

  • 경기 진행: 한 경기는 총 8엔드로 구성된다. 이는 10엔드로 진행되는 일반 컬링보다 짧다.[11][1][5][6] (과거에는 6엔드로 진행되기도 했다[5][6]). 각 팀에게는 경기당 총 38분의 사고 시간(thinking time)이 주어지며, 60초짜리 타임아웃을 한 번 사용할 수 있다.[1]

  • 팀 구성: 공식 경기에서는 반드시 남녀 혼성 4명으로 팀을 구성해야 하며, 팀에 최소 1명 이상의 여성 선수가 포함되어야 한다.[11][1][5][6]

  • 참가 자격: 휠체어를 일상적인 이동 수단으로 사용하는 장애인, 즉 스스로 걷지 못하거나 아주 짧은 거리만 걸을 수 있는 선수로 참가 자격이 제한된다.[1] 2010년 4월, 세계 컬링 연맹(WCF)은 WCF 승인 대회에서 전동 휠체어 사용 금지를 해제했다. 휠체어 컬링은 다양한 유형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으며, 정교한 힘 조절 능력과 추위에 대한 내성이 요구된다. 스위핑이 없기 때문에 2인조 경기 형식에도 적합하다.

3. 경기 방식



약 34.75m 거리에 있는 표적판(하우스)을 향해 무게 20kg의 스톤을 밀어 보내는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된다. 각 팀이 투구한 스톤 중 하우스 중심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스톤에 따라 점수가 결정된다. 각 팀의 선수는 리드(lead), 세컨드(second), 서드(third), 스킵(skip) 순서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스톤을 투구한다. 이 중 스킵은 팀의 주장을 맡아 경기 전략을 수립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경기 운영 방식은 동계올림픽의 컬링 종목과 유사하다.[11]

휠체어 컬링은 일반 컬링과 동일한 규격의 스톤과 얼음 위에서 진행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선수는 반드시 고정된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스톤을 투구해야 하며, 일반 컬링과 달리 투구된 스톤의 진로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핑(sweeping) 행위가 허용되지 않는다. 스톤은 선수가 휠체어 측면으로 몸을 기울여 직접 손으로 밀거나, '딜리버리 스틱(delivery stick)'이라는 보조 장비를 사용하여 밀어낼 수 있다. 딜리버리 스틱은 스톤 손잡이에 맞게 설계된 막대 형태로, 선수가 스톤에 정확한 회전을 주면서 안정적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돕는다.

투구 시 스톤은 하우스에서 가까운 쪽 호그라인(hog line)을 넘기 전에 선수의 손이나 딜리버리 스틱에서 떠나야 한다. 또한, 투구된 스톤은 경기장 중앙선(center line)을 기준으로 좌우 18인치(약 45.7cm) 범위 내에 놓여야 유효한 투구로 인정된다.

국가 및 국제 대회는 세계 컬링 연맹(World Curling Federation, WCF)에서 제정한 규칙에 따라 운영된다. 이 규칙에 따르면, 휠체어 컬링 팀은 반드시 남녀 선수로 구성된 혼성팀이어야 하며[1], 경기는 총 8엔드(end)로 진행된다. 각 팀에게는 경기 중 전략 구상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사고 시간이 총 38분 주어지며, 추가로 60초 길이의 작전 타임(time-out) 1회가 허용된다. 경기 시간은 시간 계측 장비(time clock)를 통해 엄격하게 관리된다.

휠체어 컬링 참가 자격은 일상적인 이동을 위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즉 스스로 보행이 불가능하거나 매우 짧은 거리만 걸을 수 있는 선수로 제한된다. 2010년 4월, 세계 컬링 연맹은 WCF가 승인하는 대회에서 전동 휠체어 사용 금지 규정을 폐지하여 전동 휠체어 사용자도 대회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휠체어 컬링은 다양한 유형의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스포츠이다. 경기 수행을 위해서는 스톤을 정확한 힘으로 밀어낼 수 있는 조정 능력과 낮은 온도 환경을 견딜 수 있는 내성이 요구된다. 일반 컬링과 달리 스위핑이 없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유산소 능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스틱 컬링과 같이 2인조 형식으로도 즐기기에 적합하다.

4. 주요 국제 대회

주요 국제 대회로는 동계 패럴림픽 휠체어 컬링,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7][8], 세계 휠체어 믹스 더블 컬링 선수권 대회[9]가 있다.

4. 1. 역대 주요 국제 대회 결과

휠체어 컬링의 주요 국제 대회로는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와 동계 패럴림픽 휠체어 컬링 경기가 있다. 세계 컬링 연맹이 주관하는 세계 선수권 대회는 2002년부터 시작되었으며[7][8], 동계 패럴림픽에서는 2006년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7][8] 각 대회의 상세한 역대 결과는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1.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

세계 컬링 연맹이 주관하는 세계 휠체어 컬링 선수권 대회는 2002년부터 시작되었다.[7][8] 역대 우승팀과 스킵은 다음과 같다.

연도우승팀스킵
2002스위스Urs Bucher
2004스코틀랜드프랭크 더피
2005스코틀랜드프랭크 더피
2007노르웨이룬 로렌첸
2008노르웨이룬 로렌첸
2009캐나다짐 암스트롱
2011캐나다짐 암스트롱
2012러시아안드레이 스미르노프
2013캐나다짐 암스트롱
2015러시아안드레이 스미르노프
2016러시아안드레이 스미르노프
2017노르웨이룬 로렌첸
2019중국왕하이타오
2020러시아콘스탄틴 쿠로흐틴
2021중국왕하이타오


4. 1. 2. 동계 패럴림픽 휠체어 컬링

휠체어 컬링은 2006년 토리노 패럴림픽부터 동계 패럴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7][8]

연도우승 국가우승팀 스킵
2006캐나다크리스 도
2010캐나다짐 암스트롱
2014캐나다짐 암스트롱
2018중국왕하이타오
2022중국왕하이타오


참조

[1] 웹사이트 Rules and Regulations http://www.worldcurl[...] World Curling Federation 2018-03-19
[2] 웹사이트 車いすカーリングとは? https://jwh-curling.[...] 2023-01-25
[3] 웹사이트 Wheelchair Curling - About https://www.paralymp[...] 2023-01-25
[4] 웹사이트 本日行われました譲渡式を持って https://www.facebook[...] 日本チェアカーリング協会 2023-01-25
[5] 웹사이트 車いすカーリング 見どころとルール等 https://www3.nhk.or.[...] 2023-01-25
[6] 웹사이트 車いすカーリング 北京パラリンピック競技早わかり : 北京パラリンピック2022 https://www.yomiuri.[...] 2023-01-25
[7] 웹사이트 About Wheelchair Curling https://www.worldcur[...] 2019-06-14
[8] 웹사이트 World Wheelchair Curling Championships https://results.worl[...] 世界カーリング連盟 2023-01-25
[9] 웹사이트 World Wheelchair Mixed Doubles Curling Championshi https://results.worl[...] 世界カーリング連盟 2023-01-25
[10] 웹사이트 車椅子カーリング http://www.curling.o[...] 2019-06-14
[11] 뉴스 휠체어컬링은 빙판 위의…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3-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